기타지마 히데아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타지마 히데아키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로, 공격수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1997년 가시와 레이솔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시미즈 에스펄스, 로아소 구마모토를 거쳐 2013년 은퇴했다.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2000년 AFC 아시안컵에서 우승을 경험했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활동하며, 로아소 구마모토, 알비렉스 니가타, 오미야 아르디자 등에서 코치를 역임했으며, 2023년 일본 풋볼 리그 소속 크리에이션 신주쿠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 - 쉬윈룽
쉬윈룽은 1999년부터 2016년까지 베이징 궈안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중국 슈퍼리그 우승과 아시안컵 준우승 등에 기여한 중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다. - 2000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 - 설기현
설기현은 2002년 월드컵 이탈리아전 동점골로 유명한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유럽 및 아시아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며 A매치 82경기 19골을 기록했고, 은퇴 후에는 대학 및 프로팀 감독을 역임했다. - 로아소 구마모토의 축구 선수 - 오다 마코토
오다 마코토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며, 2008년 로아쏘 구마모토에서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여러 팀을 거쳐 리베르타스 센슈쿠 FC에서 활동했다. - 로아소 구마모토의 축구 선수 - 요코야마 도모노부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인 요코야마 도모노부는 여러 J리그 팀에서 활약한 플레이메이커였으나, 2024년 뇌종양으로 사망했다. - 일본 남자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리 다다나리
리 다다나리는 일본 도쿄 출신의 재일교포 4세 축구 선수로, 일본 국적을 취득 후 일본 국가대표로도 활동했으며 J리그,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싱가포르 프리미어리그 등 다양한 리그에서 활약하다 은퇴했다. - 일본 남자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나카타 고지
나카타 고지는 J리그와 스위스 슈퍼리그 우승을 포함한 다양한 우승 경력을 가진 일본의 전 축구 선수로, 국가대표로서 2002년 FIFA 월드컵과 2004년 AFC 아시안컵 우승에 기여했으며 은퇴 후에는 가시마 앤틀러스에서 클럽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기타지마 히데아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기타지마 히데아키 |
본명 | (알 수 없음) |
애칭 | 기타지 핏탄 |
카타카나 표기 | 기타지마 히데아키 |
알파벳 표기 | Kitajima Hideaki |
원어 이름 | (정보 없음) |
원어 표기 | (정보 없음) |
출생일 | 1978년 5월 23일 |
출생지 | 지바현 나라시노시 |
사망일 | (알 수 없음) |
키 | 182cm |
몸무게 | 77kg |
포지션 | 공격수 |
주발 | 오른발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연도 | 1994-1996 |
유소년 클럽 | 시립 후나바시 고등학교 |
클럽 연도 | 1997-2003 |
클럽 | 가시와 레이솔 |
출장 | 108 |
득점 | 36 |
클럽 연도 2 | 2003 |
클럽 2 | →시미즈 에스펄스 (임대) |
출장 2 | 18 |
득점 2 | 2 |
클럽 연도 3 | 2004-2005 |
클럽 3 | 시미즈 에스펄스 |
출장 3 | 30 |
득점 3 | 5 |
클럽 연도 4 | 2006-2012 |
클럽 4 | 가시와 레이솔 |
출장 4 | 115 |
득점 4 | 27 |
클럽 연도 5 | 2012 |
클럽 5 | →로아소 구마모토 (임대) |
출장 5 | 8 |
득점 5 | 3 |
클럽 연도 6 | 2013 |
클럽 6 | 로아소 구마모토 |
출장 6 | 24 |
득점 6 | 0 |
통산 출장 | 303 |
통산 득점 | 73 |
클럽 성적 갱신일 | 2023년 11월 16일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일본 |
국가대표 연도 | 2000 |
국가대표 출장 | 3 |
국가대표 득점 | 1 |
국가대표 성적 갱신일 | 2000년 12월 20일 |
지도자 경력 | |
감독 연도 | 2024- |
감독 팀 | 크리아상 신주쿠 |
2. 클럽 경력
1978년 5월 23일 나라시노시에서 태어났다. 고등학교 졸업 후 1997년 가시와 레이솔에 입단했다. 1999년 많은 경기에 출전했고, 구단은 J리그컵에서 우승했다. 구단은 1999년과 2000년 J1 리그에서 3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출전 기회가 줄어들자 2003년 시미즈 에스펄스로 이적했다. 2006년 가시와 레이솔로 복귀했다. 2011년, 구단은 2011년 J1 리그에서 우승했다. 2012년 6월 로아소 구마모토로 이적했다. 2013년 시즌 말에 은퇴했다.
프로 3년차인 1999년부터 가시와의 에이스로 활약했고, 이듬해에는 득점왕 경쟁에 참여했다. 필립 트루시에가 이끄는 일본 대표팀에도 소집되었다.
2003년 팀 방침에 대한 불만 등으로 인해 시미즈 에스펄스로 이적했다. 2006년, J2로 강등된 직후의 친정팀 가시와로 전격 복귀했다. 팀의 정신적 지주로서 J1 승격에 기여했고, 부주장으로 팀을 이끌었다. 2011년 시즌에는 4월 29일 반포레 고후와의 경기에서 결승골을 넣어 J1 통산 50골을 달성했고, 12월 3일 우라와 레즈와의 경기에서 3-1로 승리하여 J1 우승 및 AFC 챔피언스 리그 진출에 기여했다.
2012년 시즌 종료 후 로아소 구마모토로부터 영입 제의를 받았지만 일단 잔류를 표명했으나, 시즌 중인 5월 25일에 로아소 구마모토로의 기간 한정 이적이 발표되었다. 기간은 6월 1일부터 다음 해 1월 말까지이지만, 선수 등록 기간 관계상, 공식전에서는 7월 20일 이후에 개최되는 경기부터 출전 가능하게 되었다. 등번호는 땡큐라는 영어로 고맙다는 뜻도 있어서 39번을 달았다. 도중 합류한 점 및 부상으로 인해 리그전에서는 8경기에 출전하는 데 그쳤지만, 3골을 기록했다.
2013년부터 로아소 구마모토로 완전 이적했다. 같은 해 10월 17일, 같은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할 것을 발표했다.
2. 1. 가시와 레이솔 1기 (1997-2002)
기타지마 히데아키는 1997년 가시와 레이솔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입단 초기 두 시즌 동안 18경기에서 2골을 기록하는 데 그쳤지만, 1999년부터 주전으로 발탁되었다. 1999 시즌 J리그컵 우승에 크게 기여하였고, 팀은 1999년과 2000년 J1 리그에서 3위를 차지했다.2002 시즌까지 가시와 레이솔에서 공식전 119경기에 출전하여 40골을 기록하며, J1리그 3위, J리그컵 우승, 천황배 4강 등의 성적을 거두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2. 2. 시미즈 에스펄스 (2003-2005)
기타지마 히데아키는 2002 시즌을 마친 뒤 시미즈 에스펄스로 이적하여[5] 2005 시즌까지 3시즌 동안 64경기 9골을 기록했다. 시미즈 에스펄스에서 2003 시즌 J리그컵 4강과 천황배 4강, 2005 시즌 천황배 준우승에 기여했다.2. 3. 가시와 레이솔 2기 (2006-2012)
2006년, 기타지마 히데아키는 J2리그로 강등된 친정팀 가시와 레이솔로 복귀했다.[5] 팀의 정신적 지주로서 J1 승격에 기여했고, 부주장으로 팀을 이끌었다.[5] 2012년 시즌 초반까지 공식전 140경기 31골을 기록하며 J리그 디비전 2 2006 준우승, 2008년 천황배 준우승, J리그 디비전 2 2010 우승, J리그 디비전 1 2011 우승, 2011년 FIFA 클럽 월드컵 4위, 일본 슈퍼컵 우승을 이끌었다.[5]2011년 시즌에는 4월 29일 반포레 고후와의 경기에서 결승골을 넣어 J1 통산 50골을 달성했고,[5] 12월 3일 우라와 레즈와의 경기에서 3-1로 승리하여 J1 우승 및 AFC 챔피언스 리그 진출에 기여했다.[5]
2. 4. 로아소 구마모토 (2012-2013)
2012년 6월 J2리그의 로아소 구마모토로 임대 이적하여, 2013 시즌까지 뛰었다. 선수 등록 기간 문제로 7월 20일 이후 경기부터 출전하게 되었으며, 등번호는 39번을 달았다. 도중 합류와 부상으로 인해 리그 8경기 출전에 그쳤지만 3골을 기록했다. 2013년에는 로아소 구마모토로 완전 이적했으며, 같은 해 10월 17일, 은퇴를 발표했다.3. 국가대표팀 경력
2000년 10월, 기타지마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2000년 아시안컵에 출전했다.[5] 이 대회에서 10월 17일 우즈베키스탄을 상대로 데뷔하여 골을 기록했다.[5] 그는 2경기에 출전했고 일본은 우승을 차지했다.[5] 2000년에 그는 일본 대표팀에서 3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했다.[5]
3. 1. 2000 AFC 아시안컵
기타지마 히데아키는 1999년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U-22 일본 대표로 선발되었고, 2000년에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기린 챌린지 2000 U-23 일본 대표, 기린 비버리지 축구 2000 일본 대표로 출전했다.[5] 2000년 AFC 아시안컵에 출전하여 우즈베키스탄과의 조별 리그 2차전에서 국제 A매치 데뷔골을 기록하며 일본의 우승에 기여했다.[5] 그러나 같은 해 12월 20일 대한민국과의 친선 경기를 끝으로 더 이상 대표팀과 인연을 맺지 못했다.3. 2. 대한민국과의 친선 경기
기타지마 히데아키는 2000년 AFC 아시안컵에서 일본 대표팀 소속으로 우즈베키스탄과의 경기에서 A매치 데뷔골을 기록하며 일본의 우승에 기여했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 20일, 대한민국과의 친선 경기를 끝으로 더 이상 대표팀과 인연을 맺지 못했다.4. 지도자 경력
2013년 현역에서 은퇴한 후, 2014년부터 로아소 구마모토의 톱 팀 어시스턴트 코치 겸 아카데미 스태프로 취임했고, 2015년부터는 톱 팀 코치로 승격했다. 2016년 1월 6일, 로아소 구마모토 측의 유스 감독 취임 제의를 거절하고 퇴단했다.
2017년, 기타지마는 친정팀인 가시와 레이솔과 구마모토로부터 코치 제의를 받고 구마모토로 복귀하여 톱 팀 코치로서 선수 지도를 담당했고, 2018년에는 헤드 코치로 승격했다. 2019년까지 로아소 구마모토에서 코치직을 수행했다.
2016년 1월 6일, 로아소 구마모토의 유스 감독 취임 제의를 거절하고 퇴단한 기타지마 히데아키는 같은 날 알비렉스 니가타 톱 팀 코치로 취임했다. 그러나 순위가 15위로 J1 잔류 경쟁에 휘말리고 있던 9월 27일, 요시다 타츠마 감독이 해임됨과 동시에 기타지마도 코치에서 물러났다.
2020년, 기타지마 히데아키는 오미야 아르디자의 코치로 취임하였다. 2021년에는 오미야 아르디자의 헤드 코치로 취임했다.
기타지마 히데아키는 2023년 11월 16일 일본 풋볼 리그 소속팀인 크리에이션 신주쿠의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2024 시즌부터 팀을 지휘할 예정이다.
4. 1. 크리아상 신주쿠 (2023-)
기타지마 히데아키는 2023년 11월 16일 일본 풋볼 리그 소속팀인 크리에이션 신주쿠의 2대 사령탑으로 취임했다.[20] 2024 시즌부터 팀을 지휘할 예정이다.
4. 2. 로아소 구마모토 코치 (2014-2015, 2017-2019)
기타지마 히데아키는 2013년 현역에서 은퇴한 후, 2014년부터 로아소 구마모토의 톱 팀 어시스턴트 코치 겸 아카데미 스태프로 취임했고, 2015년부터는 톱 팀 코치로 승격했다. 2016년 1월 6일, 로아소 구마모토 측의 유스 감독 취임 제의를 거절하고 퇴단했다.2017년, 기타지마는 친정팀인 가시와 레이솔과 구마모토로부터 코치 제의를 받고 구마모토로 복귀하여 톱 팀 코치로서 선수 지도를 담당했고, 2018년에는 헤드 코치로 승격했다. 2019년까지 로아소 구마모토에서 코치직을 수행했다.
4. 3. 알비렉스 니가타 코치 (2016)
2016년 1월 6일, 로아소 구마모토의 유스 감독 취임 제의를 거절하고 퇴단한 기타지마 히데아키는 같은 날 알비렉스 니가타 톱 팀 코치로 취임했다. 그러나 순위가 15위로 J1 잔류 경쟁에 휘말리고 있던 9월 27일, 요시다 타츠마 감독이 해임됨과 동시에 기타지마도 코치에서 물러났다.4. 4. 오미야 아르디자 코치 (2020-2022)
2020년, 기타지마 히데아키는 오미야 아르디자의 코치로 취임하였다.[20] 2021년에는 오미야 아르디자의 헤드 코치로 취임했다.[20]5. 개인 기록
wikitext
; 가시와 레이솔
- J1리그 : '''우승''' (2011), 3위 (1999, 2000)
- J2리그 : '''우승''' (2010), 준우승 (2006)
- J리그컵 : '''우승''' (1999)
- 천황배 : 준우승 (2008), 4강 (1999)
- FIFA 클럽 월드컵 : 4위 (2011)
- 일본 슈퍼컵 : '''우승''' (2012)
; 시미즈 에스펄스
- J리그컵 : 4강 (2003)
- 천황배 : 준우승 (2005), 4강 (2003)
클럽 | 시즌 | 리그 | 천황배 | J.리그컵 | 아시아 | 기타1 | 합계 | ||||||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가시와 레이솔 | 1997 | 6 | 0 | 0 | 0 | 0 | 0 | - | - | 6 | 0 | ||
1998 | 9 | 2 | 0 | 0 | 3 | 0 | - | - | 12 | 2 | |||
1999 | 17 | 7 | 4 | 2 | 6 | 2 | - | - | 27 | 11 | |||
2000 | 30 | 18 | 2 | 0 | 2 | 0 | - | - | 34 | 18 | |||
2001 | 28 | 7 | 1 | 0 | 4 | 1 | - | - | 33 | 8 | |||
2002 | 18 | 2 | 1 | 1 | 6 | 0 | - | - | 25 | 3 | |||
합계 | 108 | 36 | 8 | 3 | 21 | 3 | - | - | 137 | 42 | |||
시미즈 에스펄스 | 2003 | 18 | 2 | 2 | 0 | 2 | 0 | 2 | 1 | - | 24 | 3 | |
2004 | 27 | 5 | 0 | 0 | 7 | 0 | - | - | 34 | 5 | |||
2005 | 3 | 0 | 2 | 0 | 1 | 1 | - | - | 6 | 1 | |||
합계 | 48 | 7 | 4 | 0 | 10 | 1 | 2 | 1 | - | 64 | 9 | ||
가시와 레이솔 | 2006 | 24 | 7 | 0 | 0 | - | - | - | 24 | 7 | |||
2007 | 12 | 1 | 1 | 0 | 0 | 0 | - | - | 13 | 1 | |||
2008 | 12 | 1 | 1 | 0 | 3 | 0 | - | - | 16 | 1 | |||
2009 | 22 | 4 | 2 | 0 | 5 | 2 | - | - | 29 | 6 | |||
2010 | 17 | 4 | 2 | 0 | - | - | - | 19 | 4 | ||||
2011 | 23 | 9 | 3 | 1 | 2 | 1 | - | 3 | 0 | 31 | 11 | ||
2012 | 5 | 1 | 0 | 0 | 0 | 0 | 2 | 0 | 1 | 0 | 8 | 1 | |
합계 | 115 | 27 | 9 | 1 | 10 | 3 | 0 | 0 | 4 | 0 | 140 | 31 | |
로아소 구마모토 | 2012 | 8 | 3 | 2 | 0 | - | - | - | 10 | 3 | |||
2013 | 24 | 0 | 0 | 0 | - | - | - | 24 | 0 | ||||
합계 | 32 | 3 | 2 | 0 | - | - | - | 34 | 3 |
1 FIFA 클럽 월드컵, 일본 슈퍼컵 포함.
그는 J1리그에서 통산 230경기 59골, J2리그에서 통산 72경기 14골을 기록했다. J리그컵에서는 41경기 7골, 천황배에서는 23경기 4골을 기록했다. AFC 챔피언스리그에서는 4경기 1골을 기록했다.
기타 공식전 기록은 다음과 같다.
- 2012년: 수퍼컵 1경기 0득점
그의 첫 출전은 1997년 5월 3일 가시마 앤틀러스전(국립 가시마 육상 경기장)이었다. 첫 득점은 1998년 4월 15일 교토 퍼플 상가전(히타치 가시와 축구장)에서 기록한 V골이었다.
; 국가대표팀 기록
기타지마 히데아키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2000년 AFC 아시안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2] 2000년에 국가대표팀 경기에 3회 출장하여 1골을 기록했다.[4]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장 | 골 |
2000 | 3 | 1 |
총합 | 3 | 1 |
2000년 10월 17일 레바논 사이다의 사이다 시립 경기장에서 열린 2000년 AFC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과의 경기에서 8-1 승리에 기여하며 1골을 기록했다.[4] 10월 20일 베이루트의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카타르와의 경기에서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12월 20일 도쿄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과의 친선 경기에서도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국제 경기 출장 및 골 | ||||||
---|---|---|---|---|---|---|
# | 날짜 | 경기장 | 상대팀 | 결과 | 골 | 대회 |
2000 | ||||||
1. | 10월 17일 | 사이다 시립 경기장, 사이다, 레바논 | 2000년 AFC 아시안컵 | |||
2. | 10월 20일 |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베이루트, 레바논 | 2000년 AFC 아시안컵 | |||
3. | 12월 20일 | 국립 경기장, 도쿄, 일본 | 친선 경기 |
5. 1. 클럽 기록
기타지마 히데아키는 클럽 경력 동안 여러 팀에서 뛰며 다양한 기록을 남겼다.; 가시와 레이솔
- J1리그 : '''우승''' (2011), 3위 (1999, 2000)
- J2리그 : '''우승''' (2010), 준우승 (2006)
- J리그컵 : '''우승''' (1999)
- 천황배 : 준우승 (2008), 4강 (1999)
- FIFA 클럽 월드컵 : 4위 (2011)
- 일본 슈퍼컵 : '''우승''' (2012)
; 시미즈 에스펄스
- J리그컵 : 4강 (2003)
- 천황배 : 준우승 (2005), 4강 (2003)
클럽 | 시즌 | 리그 | 천황배 | J.리그컵 | 아시아 | 기타1 | 합계 | ||||||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가시와 레이솔 | 1997 | 6 | 0 | 0 | 0 | 0 | 0 | - | - | 6 | 0 | ||
1998 | 9 | 2 | 0 | 0 | 3 | 0 | - | - | 12 | 2 | |||
1999 | 17 | 7 | 4 | 2 | 6 | 2 | - | - | 27 | 11 | |||
2000 | 30 | 18 | 2 | 0 | 2 | 0 | - | - | 34 | 18 | |||
2001 | 28 | 7 | 1 | 0 | 4 | 1 | - | - | 33 | 8 | |||
2002 | 18 | 2 | 1 | 1 | 6 | 0 | - | - | 25 | 3 | |||
합계 | 108 | 36 | 8 | 3 | 21 | 3 | - | - | 137 | 42 | |||
시미즈 에스펄스 | 2003 | 18 | 2 | 2 | 0 | 2 | 0 | 2 | 1 | - | 24 | 3 | |
2004 | 27 | 5 | 0 | 0 | 7 | 0 | - | - | 34 | 5 | |||
2005 | 3 | 0 | 2 | 0 | 1 | 1 | - | - | 6 | 1 | |||
합계 | 48 | 7 | 4 | 0 | 10 | 1 | 2 | 1 | - | 64 | 9 | ||
가시와 레이솔 | 2006 | 24 | 7 | 0 | 0 | - | - | - | 24 | 7 | |||
2007 | 12 | 1 | 1 | 0 | 0 | 0 | - | - | 13 | 1 | |||
2008 | 12 | 1 | 1 | 0 | 3 | 0 | - | - | 16 | 1 | |||
2009 | 22 | 4 | 2 | 0 | 5 | 2 | - | - | 29 | 6 | |||
2010 | 17 | 4 | 2 | 0 | - | - | - | 19 | 4 | ||||
2011 | 23 | 9 | 3 | 1 | 2 | 1 | - | 3 | 0 | 31 | 11 | ||
2012 | 5 | 1 | 0 | 0 | 0 | 0 | 2 | 0 | 1 | 0 | 8 | 1 | |
합계 | 115 | 27 | 9 | 1 | 10 | 3 | 0 | 0 | 4 | 0 | 140 | 31 | |
로아소 구마모토 | 2012 | 8 | 3 | 2 | 0 | - | - | - | 10 | 3 | |||
2013 | 24 | 0 | 0 | 0 | - | - | - | 24 | 0 | ||||
합계 | 32 | 3 | 2 | 0 | - | - | - | 34 | 3 |
1 FIFA 클럽 월드컵, 일본 슈퍼컵 포함.
그는 J1리그에서 통산 230경기 59골, J2리그에서 통산 72경기 14골을 기록했다. J리그컵에서는 41경기 7골, 천황배에서는 23경기 4골을 기록했다. AFC 챔피언스리그에서는 4경기 1골을 기록했다.
기타 공식전 기록은 다음과 같다.
- 2012년: 수퍼컵 1경기 0득점
그의 첫 출전은 1997년 5월 3일 가시마 앤틀러스전(국립 가시마 육상 경기장)이었다. 첫 득점은 1998년 4월 15일 교토 퍼플 상가전(히타치 가시와 축구장)에서 기록한 V골이었다.
5. 2. 국가대표팀 기록
기타지마 히데아키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2000년 AFC 아시안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2] 2000년에 국가대표팀 경기에 3회 출장하여 1골을 기록했다.[4]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장 | 골 |
2000 | 3 | 1 |
총합 | 3 | 1 |
2000년 10월 17일 레바논 사이다의 사이다 시립 경기장에서 열린 2000년 AFC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과의 경기에서 8-1 승리에 기여하며 1골을 기록했다.[4] 10월 20일 베이루트의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카타르와의 경기에서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12월 20일 도쿄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과의 친선 경기에서도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국제 경기 출장 및 골 | ||||||
---|---|---|---|---|---|---|
# | 날짜 | 경기장 | 상대팀 | 결과 | 골 | 대회 |
2000 | ||||||
1. | 10월 17일 | 사이다 시립 경기장, 사이다, 레바논 | 2000년 AFC 아시안컵 | |||
2. | 10월 20일 |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베이루트, 레바논 | 2000년 AFC 아시안컵 | |||
3. | 12월 20일 | 국립 경기장, 도쿄, 일본 | 친선 경기 |
6. 수상 경력
; 가시와 레이솔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6. 1. 클럽
기타지마 히데아키는 가시와 레이솔에서 J1리그 우승(2011), J1리그 3위(1999, 2000), J2리그 우승(2010), J2리그 준우승(2006), J리그컵 우승(1999), 천황배 준우승(2008), 천황배 4강(1999), FIFA 클럽 월드컵 4위(2011), 일본 슈퍼컵 우승(2012)을 기록했다.시미즈 에스펄스에서는 J리그컵 4강(2003), 천황배 준우승(2005), 천황배 4강(2003)을 기록했다.
가시와 레이솔에서 J리그컵 1회(1999), J2리그 1회(2010), J1리그 1회(2011), 일본 슈퍼컵 1회(2012) 우승을 달성했다.
6. 2. 국가대표팀
기타지마 히데아키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AFC 아시안컵에 출전하여 2000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6. 3. 개인
wikitext가시와 레이솔 소속으로 J리그컵 1회(1999년), J2리그 1회(2010년), J1리그 1회(2011년), 일본 슈퍼컵 1회(2012년) 우승을 달성했다.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2000년 AFC 아시안컵 우승을 차지했다. 제75회 전국 고등학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득점왕과 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FIFA Club World Cup Japan 2011 presented by Toyota: List of Players
http://www.fifadata.[...]
FIFA
2011-12-11
[2]
문서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www.jfootball[...]
[3]
웹사이트
北嶋秀朗 2024シーズン トップチーム監督 就任のお知らせ │ Criacao Shinjuku Official Site
https://criacao.co.j[...]
2023-11-16
[4]
뉴스
北嶋 秀朗
http://www.jfootball[...]
[5]
웹사이트
『夢を具体化できていれば、かなえられる可能性は高くなる』北嶋 秀朗(柏レイソル)
http://www.sakaiku.j[...]
2013-09-21
[6]
뉴스
元日本代表の柏・北嶋にオファー 今季23試合9得点
http://kumanichi.com[...]
熊本日日新聞
2011-12-27
[7]
문서
北嶋秀朗選手、柏レイソルより期限付き移籍加入のお知らせ
http://roasso-k.com/[...]
ロアッソ熊本公式サイト
2012-05-25
[8]
뉴스
元代表FWの柏・北嶋、ロアッソへ 7月末レンタル移籍
http://kumanichi.com[...]
熊本日日新聞
2012-05-25
[9]
뉴스
北嶋「熊本を強く」 新加入で抱負
http://kumanichi.com[...]
熊本日日新聞
2012-06-08
[10]
문서
北嶋秀朗選手、背番号が決定!
http://roasso-k.com/[...]
ロアッソ熊本公式サイト
2012-06-07
[11]
뉴스
北嶋、期限付きから完全移籍へ
http://kumanichi.com[...]
熊本日日新聞
2012-12-04
[12]
문서
北嶋秀朗選手、完全移籍加入のお知らせ
http://roasso-k.com/[...]
ロアッソ熊本公式サイト
2012-12-05
[13]
뉴스
北嶋秀朗選手、現役引退のお知らせ
http://roasso-k.com/[...]
ロアッソ熊本 公式サイト
2013-10-17
[14]
뉴스
北嶋秀朗選手、アシスタントコーチ兼アカデミースタッフ就任のお知らせ
http://roasso-k.com/[...]
ロアッソ熊本 公式サイト
2013-12-13
[15]
뉴스
2015シーズン ロアッソ熊本トップチームスタッフについて
http://roasso-k.com/[...]
ロアッソ熊本 公式サイト
2015-01-15
[16]
뉴스
トップチームコーチに北嶋 秀朗氏 就任のお知らせ
http://www.albirex.c[...]
アルビレックス新潟 公式サイト
2016-01-06
[17]
웹사이트
監督交代のお知らせ
http://www.albirex.c[...]
アルビレックス新潟
2016-09-27
[18]
문서
北嶋秀朗氏、トップチームコーチ就任のお知らせ
http://roasso-k.com/[...]
ロアッソ熊本公式サイト
2017-01-05
[19]
문서
北嶋秀朗コーチ、ロアッソ熊本ヘッドコーチ就任のお知らせ
http://roasso-k.com/[...]
ロアッソ熊本公式サイト
2017-12-17
[20]
웹사이트
北嶋秀朗 2024シーズン トップチーム監督 就任のお知らせ │ Criacao Shinjuku Official Site
https://criacao.co.j[...]
2023-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